스테이블 코인 등장으로 변화 맞을 가상경제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스타트업투데이] 비트코인을 포함한 코인이 내포한 위험성 중 하나가 가격 변동성이다. 특히 유가 증권시장에 존재하는 상승, 하강(상한가, 하한가)의 한계점이 없다는 것과 24시간 동안 쉬지 않고 변동한다는 것이 이를 가치저장 수단 혹은 화폐 수단으로 사용하기에 불완전성이 크다는 근거로 꼽힌다. 

이러한 위험성을 완화시키고 화폐로서의 교환수단으로 전세계에서 제한없이 사용하기 위해 등장한 코인이 스테이블 코인이다.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은 현금 등의 기존의 화폐 또는 금 등의 실물자산과 연동해(페깅) 가격 안정성을 보장하는 가상자산을 말한다. 

종류로는 테더(Tether)의 USDT, 코인베이스에서 발행하는 USD코인(USDC), 바이낸스(Binance)의 BUSD가 있다. 최근에는 테라의 알고리즘 코인인 UST코인, 트루USD(TUSD) 등 많은 코인이 등장하였다. 

스테이블 코인은 기존 화폐와 동일한 가치를 유지하면서도, 블록체인을 활용한 코인 자체의 장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복잡한 은행 송금망 대신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하게 되고, 은행 등의 중개인이나 송금회사를 거칠 필요가 없다. 세계 각국에 단시간내 직접적으로 송금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수료의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 기존 화폐와 동일한 가치가 있기 때문에 자산 보유를 다양하게 하는 하나의 투자수단으로써 현금을 보유하는 역할을 한다. 스테이블 코인의 이러한 유연성으로 인해 디지털세계의 가치전달을 보다 신뢰성있게 보장한다는 강점을 나타내게 된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CDBC와의 관계

스테이블 코인은 현재 통용되는 화폐의 가치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세계 각국 중앙은행에서 활발히 연구 중인 디지털화폐(CBDC)와 공통점이 많이 있다. 하지만 민간이 발행하는 스테이블 코인과 국가에서 발행하는 디지털화폐(CBDC)사이에는 중첩되는 영역이 있는 만큼, 경쟁관계에 놓이게 된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하 연준) 의장은 “CBDC가 나오면 더는 스테이블 코인이나 가상화폐가 필요 없을 것”이라며 “스테이블 코인이 주요 결제 수단이 된다면 우리는 적절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규제와 부정적 시각을 내비치기도 했다. 

또 다른 의견으로는 사적 단체에서 만든 스테이블 코인과 국가에서 만든 CBDC는 근본적인 공통점은 있으나, 각자 맡은 역할이 분명히 다르므로 향후 규제도입 등을 통해 시장의 안정화되면 함께 공존할 수 있다고 한다. 

CBDC는 해당 국가의 법정화폐인 점에서 다르지 않으므로 결국은 그 사용처가 자국 내에 한정될 수 밖에 없다는 한계성이 있다. 스테이블 코인은 이러한 제한 없이 블록체인의 확장성을 온전히 가진다는 면에서는 스테이블 코인이 월등히 앞서게 된다. 

다만, 민간에서 발행하는 스테이블 코인은 CBDC에 비해 가치, 지급 신뢰도 면에선 떨어질 수 밖에 없다. 해당 스테이블 코인에서 급작스런 수요·공급 변화로 인해 일시적 가치 변동이 일어나기도 하는데 반해 CBDC는 중앙은행에서 관리하므로 가치 변동성이 제로(0)에 해당한다. 

CBDC의 가치는 중앙은행이 담보하므로 언제든 실물 화폐로 지급될 수 있는 지급 신뢰도가 보장이 된다. 예를 들어 1만 달러의 USDT가 발행됐다면 테더의 계좌에도 1만 달러의 현금이 준비돼 있어야만 사용자가 언제든 즉각 USDT를 달러로 교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현재 누구도 보장하지 못하고 있다. 2021년 3월에 발표한 테더의 자산내역에 의하면 현금비중이 3.87%에 불과하여 지급 신뢰도면에서 큰 불안감을 가지게 하였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스테이블 코인의 종류와 각 장단점

스테이블 코인은 크게 법정화폐 담보형, 암호화폐 담보형, 무담보 알고리즘형 등 세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법정화폐 담보형’(fiat-collateraliteralized stablecoins)은 특정 기관에 법정화폐를 예치해 둔 만큼, 코인을 발행하는 유형이다. 테더(Tether)가 발행하는 USD테더(USDTether), 트러스트 토큰(Trust Token)에서 발행하는 트루USD(TrueUSD)가 대표적이다. 

이는 투자자들이 해당 코인을 법정화폐로 할 수 있는 지급 신뢰도를 중시하여서 해당 가치를 보존하는 형태이지만, 그만큼 많은 법정화폐를 확보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확정성에서는 한계에 부딪친다. 

두번째로 ‘암호화폐 담보형’(crypto-collateralized stablecoins)은 비트코인 혹은 이더리움 등의 대표성 있는 암호화폐을 담보로 맡기고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는 형태다. 대표적으로 비트셰어와 메이커가 있다. 

이때 코인을 발행하고 유지하는 업무를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로 대체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해당 코인의 담보를 특정 기관이 보유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계약 시스템의 플랫폼 상에 보관하는 것이다. 

이 경우 담보가 암호화폐 자체가 되므로 담보 자체가 가격변동성을 가지므로 이로 인해 스테이블 코인 자체도 변동성을 가질 수 있는 단점을 가지게 되고, 장점으로는 특정 기관이 담보를 보유하게 되는 ‘중앙화’를 극복할 수 있어서 블록체인의 ‘탈중앙화’ 가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무담보 알고리즘형’(흔히 ‘알고리즘형 스테이블 코인’이라고 한다)은 담보 없이 알고리즘을 통해 스테이블 코인의 가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목표다. 

대표적으로는 베이스코인과 테라(루나)가 있다. 일례로 테라의 경우 테라시스템 내에서 테라와 연동되는 루나코인을 매수매도함으로써 시장의 테라의 수량을 조절하고 결과적으로 테라의 가격을 1달러로 유지시키는 원리이다. 

하지만 순수하게 컴퓨터 프로그램 언어의 알고리즘을 통해 코인의 유통량을 조절하고 이로써 수요와 공급의 원리로 목표가격를 유지하게 되므로 해당 알고리즘이 외부 변화에 얼마나 견고한지가 관건이다. 특히 담보를 전혀 보유하지 않기 때문에 지급 신뢰도면에서 대중에게 어떻게 신뢰를 획득할지가 문제다. 

* 외부 필자의 글은 본지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투데이=편집부 ]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타트업투데이(STARTUP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