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ESG 특성과 중국의 자체 ESG 평가 기준을 만들려는 노력

중국 상하이ⓒ게티이미지뱅크
중국 상하이ⓒ게티이미지뱅크

[스타트업투데이] 기업의 외국시장 진출에 있어 현지화는 매우 중요하다. 기업이 목표시장으로 하는 현지의 문화, 언어, 관습 자연환경 등을 고려하여 맞춤형 전략을 수립한 후에야 현지 시장에 안정적으로 진출할 수 있다. 물론 획기적인 개념의 스마트폰을 출시하여 글로벌 시장의 패러다임 자체를 바꾸는 애플과도 같은 기업도 있지만, 보통은 현지화를 잘 해낸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룩하기가 쉽다. 

현지화를 중요시하는 나라 중 하나는 중국이 있다. 사실 중국에서는 해외문물이 도입될 때마다 ‘중국 특색의’(中国特色) 또는 ‘중국 스타일’(中国风格), ‘중국식’(中国式)이라는 수식어가 자주 붙는다. 

마오쩌둥이 구소련 방식의 도시 노동자 중심의 봉기방식을 과감히 버리고 농촌 지역 농민들을 중심으로 세력을 길러 오늘날의 중국을 세운 것, 덩샤오핑이 현재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국가통제사회주의를 혼합한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를 만들어낸 점, 서방국가들의 압력을 무시한 채 꿋꿋하게 중국식 민주주의를 주장하는 점 등 중국은 외국에서 온 제도들을 들여올 때 그대로 들여오기보다 나름 독특한 파생작품을 만들어 내곤 하였다. 

여기에는 최근 해외에서 갓 들어온 ESG도 그러하다. 조만간 중국 특색의 ESG라는 용어가 유행할지도 모른다. 

 

“글로벌 ESG 기준과 중국 현실 경제와는 맞지 않는다” 인식

가령 글로벌 ESG 기준에서 Environment 분야는 온실가스, 탄소배출권 등 정량적 평가가 가능한 요소가 다른 분야보다 많다. 글로벌 국가들은 ESG 도입 초기부터 석유, 석탄 소비를 감축을 통한 저탄소 경제로 전환을 매우 중시하고 있다. 그러나 필요로 하는 에너지는 많지만 환경기술은 부족한 중국은 석유, 석탄을 감축하기보다 고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 역시 Environment 평가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보고 있다. 즉, 글로벌 기준보다 환경에 대한 요구기준이 낮고 다르다. 

또한 Social 부분에서도 노조를 중시하는 글로벌 기준보다 일정 규모가 있는 회사 내 반드시 공산당 조직의 활동을 보장해야 하는 중국기업에 있어서 이를 어떻게 반영해야 하는지 의문점도 있다. 

Governance 부분에서도 인종, 인권 부분에 상대적으로 소홀한 것도 중국의 특징이다. 중국 내부에서도 ESG의 표준기준이 신흥시장으로서의 독자적인 중국모델에 적합하기보다는 경제적으로 성숙한 미국∙유럽에 유리하다는 인식이 있다. 

그 외에도 타 시장경제 국가에 비해 규모가 비대한 국유기업들의 존재도 중국 ESG의 특징이다. 중국 중앙재경대학 녹색금융연구원은 위 연구소가 발표한 중국 ESG 발전백서에서 고비용 저효율 특성을 가졌으나 고용유지 및 국가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맡은 중국 국유기업들에 대해 글로벌 ESG 기준의 적용은 힘들다고 문제점을 제기한 바 있다. 

 

AI, 빅데이터 융합을 위한 시도 역시 중국만의 특징

한국과 마찬가지로 중국 역시 ESG 중국표준을 만들어내는 시도들은 적지 않게 있었다. 그중 주목할 만한 것은 IT, AI, 빅데이터 대국을 표방하는 중국답게, 새로운 기술들과 ESG를 접목한려는 노력이 있다. 

가령 중국재경대학 녹색금융연구원은 중국상장사 및 비상장사에 대한 ESG데이터 센터를 구축하여 약 4,000개 회사의 ESG 데이터를 수집하고, 각각 ESG 등급을 분류한 바 있다. 2020년 중국핑안그룹(보험∙금융)은 언론보도를 통해 국내∙외 최초로 AI와 ESG를 접목한 플랫폼을 개발하였다고 밝힌 바 있다. 핑안그룹은 중국 내 ESG 데이터 관리 효율과 신속한 공시능력을 높였다고 주장하며, 향후 목표는 AI-ESG 시스템을 통한 중국형 ESG 평가시스템의 구축이라고 밝힌 바 있다. 

 

중국, 글로벌 기준을 넘어설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중국이 중국모델의 ESG를 구축하겠다는 노력은 자체 광활한 시장을 보유하고 있다는 자신감에 기반을 둔다. 글로벌 기준을 따르지 않더라도 최소 중국 시장에서 외국기업들 역시 중국 기준을 따르게 만들겠다는 자신감이다. 

그 외에도 환경기술이 뛰어난 미국∙유럽 시장경제 국가들의 기준을 따르지 않고 신흥시장인 개발도상국들에 더욱 적합한 모델을 전파하겠다는 욕심도 보인다. 글로벌 기준이 아직 확립되지 않은 현재 상황에서 중국이 자국 시장에 국한된 로컬기준으로 만족할지 아니면 글로벌 기준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을지는 지켜보아야 할것이다. 

 

선명법무법인 박정윤 변호사
선명법무법인 박정윤 변호사

* 외부 필자의 글은 본지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투데이=편집부 ]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스타트업투데이(STARTUP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