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투자자 10명중 1명 떠나∙∙∙거래금액도 ‘절반’으로↓
반짝회복세에도 가상자산거래소 양극화 ‘심화’
한국 가상자산 68.9%, 중앙화 거래소에서 ‘거래’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스타트업투데이] 국내 코인 투자가가 1년새 1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총 거래금액도 1년 전보다 절반 가량 급감했다. 

지난 10일 금융정보분석원(FIU)가 공개한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가상자산 거래 실제 이용자 수는 올해 상반기 606만 명으로 지난해 상반기 690만명 대비 12% 이상 감소했다. 투자자는 개인이 99.99%로 절대 다수를 차지했지만, 606만 명 중 법인 투자자는 237개사로 0.01%에 그쳤다. 

가상자산거래소 등록 계정수도 1년새 30% 가까이 급감했다. 지난해 상반기 1,310만개였던 계정 수는 올해 상반기 950만 개로 줄었다. 투자자가 줄면서 거래금액도 급감했다. 올해 상반기 일평균 거래금액은 2조 9,000억 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5조 3,000억 원에 비해 절반가량 줄어든 셈이다. 

원화마켓과 코인마켓 간 격차가 계속 확대되는 가운데, 원화마켓 내에서도 특정 거래소 쏠림 현상도 계속 이어지고 있어 가상자산 시장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고사 위기에 처한 ‘코인마켓’∙∙∙가상자산거래소 양극화 ‘극심’ 

23년 상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결과(사진=금융위원회)
23년 상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결과(사진=금융위원회)

올해 상반기 글로벌 긴축정책 완화 기대감 및 투자심리 개선 등으로 가상자산 시장이 반짝 회복세가 나타났지만, 국내 거래소 간 양극화는 오히려 심화됐다. 

‘2023년 상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신고된 가상자산거래소는 모두 27개로 나타났다. 이중 1개는 사실상 영업을 중단해 실제로는 26개 거래소가 현재 운영되고 있다. 26개 거래소 중 원화마켓 거래소는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 등 5곳이고, 나머지 21곳은 코인마켓 거래소다. 

현재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에 따라 국내에서 원화로 가상자산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거래소는 은행의 실명 입출금 계정(실명계좌)을 확보해야만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가상자산 간 거래 서비스(코인마켓)만 제공할 수 있다. 

사실상 국내 가상자산 시장은 원화마켓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지난 6월 말 기준 국내 가상자산 시가총액은 28조 4,000억 원으로, 이중 원화마켓이 98.2%인 27조 9,000억 원을 차지했다. 코인마켓 시가총액은 1.8%인 5,000억 원에 불과하다. 

영업이익을 살펴보면 코인마켓은 사실상 고사 위기에 처해 있는 상태다. 상반기 국내 거래소 총 영업이익은 2.273억 원을 기록한 가운데, 원화마켓은 2,598억 원의 영업이익을 올렸지만, 코인마켓은 325억원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특히 코인마켓 사업자 21곳 중 18곳은 자본총계가 마이너스인 ‘완전자본잠식’상태다. 

원화마켓 중에서도 국내 최대 거래소인 업비트의 영업이익이 3,206억 원, 2위인 빗썸의 영업이익이 125억 원으로 집계됐다. 사실상 나머지 3개 사업자는 영업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용자 확대를 위해 무리하게 거래수수료 무료 이벤트 등을 진행하다 보니 실제 거래가 발생하더라도 수수료 매출이 없는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이다. 

일부 코인마켓 거래소는 꾸준히 원화마켓 진출을 시도하고 있지만, 은행 실명계좌 확보나 금융당국 심사의 벽을 통과하지 못해 5대 원화마켓 거래소 체제가 계속되고 있다. 

 

국내 가상자산, 중앙화 거래소에서 거래∙∙∙규제 영향 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한국에서는 가상자산거래소 계좌를 개설하기 위해 개인과 연결된 특정 유형의 은행 계좌를 보유해야 한다. 업계 전문가들은 ”한국의 규제 프레임워크는 기관 플레이어가 가상자산 시장에 진입하는 데 장애물로 작용한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기업 체이널리시스의 ‘2023 글로벌 가상자산 도입 지수-동아시아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가상자산 거래량의 68.9%가 중앙화 거래소를 통해 이뤄졌으며 디파이(DeFi) 거래량은 저조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국은 거래 규모를 기준으로 아태지역에서 기관 중심의 거래가 가장 적은 시장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에 대한 대표적 원인으로 체이널리시스는 한국의 규제 프레임워크와 함께 테라루나 사건 이후 한국 내 팽배해진 가상자산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를 꼽았다. 해당 사태 이후 한국 당국은 준비금 보유 요건 등 중앙화 거래소에 적용되는 몇 가지 새로운 규정을 통과시켰다. 이로 인해 탈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이 타격을 입은 상황에서 중앙화 거래소에 대한 한국인의 신뢰를 높였을 것으로 분석된다. 

한 때 가상자산 시장을 주도했던 동아시아도 지난 몇 년 동안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시아는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전 세계 가상자산 활동의 8.8%를 차지하며, 2년 연속 거래 규모 순위가 하락해 5위를 기록했다. 

2019년까지만 해도 동아시아는 중국의 거대한 거래 활동과 채굴 부문에 힘입어 거래량 기준 가상자산 상위 시장 중 하나였지만, 계속되는 중국의 엄격한 규제, 한국의 가상자산 규제, 테라루나 류의 사건의 영향으로 동아시아에서는 가상자산이 침체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일본은 중앙화 거래소와 다양한 유형의 디파이 프로토콜이 거의 고르게 분포된 글로벌 트렌드를 반영하고 있다. 이어 홍콩은 가상자산 친화적인 규제와 이니셔티브를 통해 동아시아 가상자산 시장에서 중요한 플레이어로 자리 잡고 있다. 

현재 홍콩은 실거래량 기준으로 매우 활발한 가상자산 시장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약 640억 달러(약 87조 원)의 가상자산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홍콩의 인구가 중국 본토의 0.5%임에도 불구하고 같은 기간 동안 중국의 864억 달러(약 117조 원)에 크게 뒤지지 않는 수치다. 

[스타트업투데이=권아영 기자]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타트업투데이(STARTUP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